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임대할 때 실거래가 조회는 무조건 해야 되는 필. 수.입니다.
실거래가는 시세보다 신뢰도가 높으며 합리적인 가격 결정을 도와줍니다.
오늘은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주의점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실거래가? - 그게 뭐지?
부동산 실거래가
부동산이 실제로 계약된 가격을 의미하며 국토교통부에서 공식적으로 공개하는 가격입니다.
단순히 매물이 올라온 가격이 아닌 계약이 성사된 금액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특징
국토교통부에 의해 투명하게 공개
부동산 매매 및 전월세 계약 신고 후 1~2개월 내 업데이트
실거래가와 시세의 차이를 확인하여 시장 흐름 파악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방법!
실거래가는
대표적으로 '네이버 부동산' 또는 'KB부동산'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 2가지의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으니 확인 바랍니다.
네이버 부동산 - 실거래가 조회
1. '네이버 부동산' 접속 후 원하는 메뉴 클릭 후 지역 선택

2. 최근 실거래가 지역별 확인 가능

'네이버 부동산'
지도에서 아파트별 실거래가 조회가 가능하며
국토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편리합니다.
그리고 가격 변동 그래프를 제공하여 가격비교가 수월합니다.
매물 정보가 섞여있기 때문에 초보자한테는 헷갈릴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너무 오래전 데이터는 빠져 있을 수 있습니다.
KB 부동산 - 실거래가 조회
1. KB 부동산 접속 후 아파트명 또는 지역 검색

2. 실거래가 & 시세 비교 가능
KB 부동산
KB은행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시세 예측이 가능합니다.
실거래가 조회 동시에 감정사를 함께 비교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정보 업데이트가 국토부보다 느릴 수 있으며
전&월세 정보가 부족할 수 있으니 유의 바랍니다.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시 주의점?!
실거래가 데이터를 활용할 때 주의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보는 것만 아니라
시장흐름과 지역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래 대표적인 4가지의 주의점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실거래가 & 시세 차이 이해할 것
실거래가는 실제로 거래된 금액이며
시세는 부동산에서 평가한 가격 입니다.
서로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둘을 꼭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거래량이 적은 매물은 신뢰도가 낮을 가능성
같은 매물이라도 거래량이 적다면 일반적인 경우가 아닌
급매와 같은 특수한 경우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최소 3~6개월 정도의 데이터가 있는 매물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급매물과 일반 거래 구분 할 것
급매물은 보통 시세보다 저렴하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 거래의 가격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정확한 시세 파악에 유리합니다.
단순 실거래가격을 보는 것이 아닌
개별 거래 내역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거래가 조작 가능성
일부 거래에서 허위 계약 신고 후 취소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조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갑자기 특정 매물의 가격이 급등했다면 조작 가능성을 의심하길 바랍니다.
거래량이 충분히 있는지 꼭 확인하길 바랍니다.
실거래가 조회를 활용하여 부동산 매매를 해보자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는
신뢰할 수 있는 부동산 가격 정보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단순한 가격 비교가 아닌 시장흐름과 거래패턴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두사이트를 활용하여
실거래가 데이터를 체크해 합리적인 부동산 매매 결정을 하길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부동산 실거래가를 조회하고 싶은 모든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칩니다.^^